google-site-verification: googleb55336b5949accdd.html 현대사회학의 기능론과 갈등론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현대사회학의 기능론과 갈등론

by dazzlefree 2022. 5. 2.
반응형

현대사회학의 기능론과 갈등론

 

사회학은 19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사회적인 운동으로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사회구조, 계급, 성별, 인종, 법칙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모든 현상, 문제 등에 대해서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현대 사회학에서 큰 영향을 준 인물은 에밀 뒤르켐입니다. 그는 사회질서와 무질서 사이에서의 원인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하였습니다. 사회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를 사회적인 통합력이 약화되었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하였습니다. 현대사회에서의 기능론과 갈등론은 사회학의 거시 이론의 하나이다. 이 두 이론이 무엇인지 문제점과 한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능론

 

현대사회에서 기능론은 모든 행동은 그 나름대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기능론적인 측면에서 볼 때 사회를 이루는 개인이나 제도 등은 자기 각자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사회 안에서 조화와 균형을 이루지만 각자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면 사회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개인이 사회화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것으로 보았습니다. 사회를 하나의 생물체로 보고 서로 의존적인 부분들로 구성이 되어있고 서로 영향을 받는다는 사회 유기체설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파슨스는 사회를 에 의해 만들어진 AGIL 도식은 모든 체계를 위해 필요한 네 가지를 적응(Adaption), 목표 달성(Goal-Attainment), 통합(Integration), 잠재성(Latent Pattern anf Tention Managament)으로 보았습니다. 이 네 가지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A(적응>)는 외부 세계에 적응하고 변형시킴으로 적응 기능을 수행하는 행동 유기체계로 경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G(목표 달성)은 체계의 목표를 세우고 달성하기 위해 모든 것을 동원하여 목표 달성 기능을 수행하는 인성 체계 정체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I(통합)은 각 구성들을 통합하여 통합의 기능을 하는 사회 체계 법, 제도 등이 포함되고, L(잠재성)은 개인의 동기를 유발하고 지속시키는 가치, 규칙을 제공하면서 잠재적 기능을 수행하는 종교, 문화 등을 말하고 있습니다. 기능론은 사회의 갈등과 변화에 효과적인 대안으로 보기 어렵고 소득 분배의 불균형 등으로 사회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갈등론

 

기능론의 대체로 만들어진 갈등론은 사회를 질서와 안정으로 본 것이 아니라 갈등과 대립이 항상 있다고 보고 사회가 변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갈등론은 사회를 볼 때 항상 부정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고 그 갈등이 사회의 본질이라고 보았습니다. 대표적으로 마르크스가 있으며 마르크스가 보는 사회는 생산자 입장의 자본을 소유한 계층과 그렇지 못한 계층 간의 갈등을 주로 다루고 있습니다. 갈등론은 사회 문화에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갈등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갈등이 좋은 결과를 도출해 낼 수 도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하지만 사회의 갈등과 대립의 해결을 중요시하는데만 치중해서 사회의 통합을 경시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각자의 개인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사회의 역할도 중요합니다. 개인의 생존을 도모하기 위해 사회의 법률과 제도를 따르고 개인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형성된 집단은 서로의 역할을 배분함으로써 각각의 기능을 하며 생존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